본문 바로가기
생각정리

고소득층, 중산층의 기준이란 무엇일까

by 유티끌 2024. 5. 15.

중산층의 기준이란 무엇일까?

네이버 뉴스에 얼마전에 아래와 같은 기사가 있었다.

 

월 '700만원' 넘게 버는데도 "내가 부자? 난 '하층민'"…도대체 왜?

월 소득 700만 원이 넘는 고소득 가구지만 정작 자신들은 ‘중산층’이나 심지어 ‘하층’으로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황수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원·이창근 KDI 국제정

n.news.naver.com

기사에서는 월 700만원의 소득이 넘는 가구를 고소득 가구라고 설명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소득층이 아니라 중산층, 하류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었다.

연구진의 설명으로는 

연구진은 실제 상층 가구의 중산층 평가절하 요인으로 지난 10년간 고소득 가구의 소득 점유율이 줄어들고 소득이 일부 축소되며 자학증세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중산층 위기론이 실제 중산층이 줄어서가 아니라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고소득층의 경제적 지위 하락에 따른 불만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미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즉, 상대적으로 소득이 크게 오르지 않았거나, 줄어들었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다른사람들의 자산/소득이 크게 늘었기 때문에 본인은 고소득층이 아닌 중산층/하류층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과는 별개로 기사에서는, 해당 고소득층 가구가 몇인가구인지를 따로 표기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것은 가구별 소득이 얼마나되냐에 따라 고소득층의 기준이 달라질 수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u0Tw56gcA0

모 유튜브의 영상중에 보건복지부의 자료를 보기좋게 시각화한 것이 있어서 가져와봤다.

월 700만원이라는 숫자는 3인가구부터는 중산층의 범위이기 때문에, 3인가구부터는 실질적으로 고소득자가 아닐 수 있다.

또한 고소득이라는 기준은 가구의 기준으로 보던 개인의 기준으로 보던 조금 조금 애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인가구이면서 혼자서 700만원을 번다면 그것은 잘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4인가구/5인가구인데 외벌이로 월 700을 번다고하면, 그 가구는 고소득층 가구일까?

반대로 2인가구이면서 맞벌이에 둘이서 350씩 벌어 700을 벌고있다면 그것은 고소득층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래서 중산층의 기준이 더더욱 애매해질 수 있다.

기사를 볼 때는 좀 더 비판적으로 바라봐야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