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으로 종목 스크리너 만들기

뇌동매매 금지 - 10. Bug fix와 이것저것 추가하기 - 3

by 유티끌 2022. 9. 12.

새롭게 추가한 데이터들에 대해 검증작업을 진행해봅니다.


추가한 데이터에 대해 검증해보기

PEG

PEG는 사실 제공해주는 사이트가 없어서 검증하기가 어려웠습니다.

QoQ, YoY 증가율

증가율에 대해서는 네이버의 재무제표를 이용해서 검증해보겠습니다.

YoY에 대해서는 네이버증권에서는 전년도 동기 대비 증가율이 아니라 해당연도의 최종 사업보고서 (4분기) 기준으로만 기재되어있어서, 증권플러스의 데이터를 참고했습니다.

캡쳐에는 딱 필요한 정보 이외에는 컬럼 숨기기를 했습니다.

QoQ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YoY

QoQ, YoY 모두 증권 정보 제공 서비스들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YoY에서는, 과거 4개의 데이터가 모두 빈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당연하게도 비교할 데이터군이 없어서입니다.

저는 2020년 데이터부터 조회하고 있는데, 2020년의 YoY를 구하기 위해서는 2019년의 데이터가 필요한데 2019년 데이터를 조회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것으로 현재 저에게 필요한 데이터들은 어느정도 구비가 된 상태입니다.
OpenDart에 조회할 때는 보통 시가총액 하위 30%의 기업을 조회하는게 알맞긴했었는데, 어느 순간부터인가 조회가능수가 1만에서 2만으로 늘어나서, 요새는 40%까지 하고있습니다.

왜 40%까지 하는지는 아래에서 좀 더 설명하고자 합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퀀트 프로그램

사실 직접 파이썬으로 짜게 된 계기가,

  1. 맥으로 돌릴 수 있는 퀀트프로그램이 없다.
  2. 스크리닝 사이트를 이용하기에는 주식수익률이 처참해서 유료결제해서 사용하기에 집사람 눈치가 보였다 (...)

입니다. 뭐 2번이야 용돈을 늘리던지 주식 수익률을 많이내면 해결될테지만, 1번이 문제였거든요.

올해 초만해도, 많이들 사용하시던 젠포트나 퀀트킹은 직접 설치를 했어야했는데 macOS를 지원하지 않아 설치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짜다보니까 웹기반으로 퀀트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1. Quantus

https://www.quantus.kr/universe

퀀터스는 트레이딩 방법에 따른 백테스트 결과와, 10분위 팩터데이터 백테스트 결과를 제공하고, 해당 조건에 맞는 종목들을 추출해줍니다.

html 파일로 백테스트 결과를 제공해주는데 속도도 빠를뿐더러 알기 쉬웠습니다.

2. Allatte

https://allatte.com/screener

퀀터스보다 더 많은 나라를 제공합니다. 종목찾기와 백테스트가 가능한데, 선택할 수 있는 조건들이 퀀터스와는 조금 다릅니다.
종목의 상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점도 퀀터스와는 다른점인데, 연간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고, 분기별 데이터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위 언급한 프로그램들이 아직은 베타테스트 기간이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2/09/10 기준)

저같은 경우에는, 제가 사용하는 필터 조건들이 퀀터스에서도 지원해서 퀀터스에서 제가 사회초년생으로 입문했을 때를 기준으로 백테스트를 진행해보았고, 몇가지 필터에서 만족할만한 수익률을 확인하고 있어서, 뭔가 이대로 제가 짠 파이썬 코드를 사용해도 될 것 같았습니다. (MDD는 많이 높지만...)

10분위 결과도 확인하였는데 소형주 4분위까지가 백테스트 결과가 좋아서, OpenDart 조회 최대치까지가는 하위 40%의 기업들에 대해 조회하고 있습니다.

추천해주는 종목은 저의 스크리닝 결과와는 조금 달랐는데, 아무래도 팩터데이터를 계산할때 사용하는 산식이 조금 다르지 않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나중에 수익이 좀 나면 결제해서 사용해도 괜찮지않을까...싶네요.


이걸로 버그 수정 및 데이터 추가, 리팩토링도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