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09 2분기 기준 "패션플랫폼" 재무제표 확인하기


주요제품 매출 구성에 적혀져 있는 것들은 패션플랫폼에서 판매하고있는 의류 브랜드입니다.
매출액 / 매출총이익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2분기 기준 수치입니다.


OpenDart를 조회했는데 2021년 6월 데이터부터 조회할 수 있었습니다. 🤔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증가율

전년 동기대비 당기순이익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직전 분기 대비

전년 동기 대비

패션플랫폼의 경우 21년 6월부터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서,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은 이번 2분기부터 계산할 수 있었습니다.
매출총이익율 / 영업이익율 / 당기순이익율

영업이익율은 현재 10퍼센트 후반대입니다.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간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보아서는 판관비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산 / 자본 / 부채


부채 비율


부채비율은 2분기 기준으로 약 40퍼센트 중반으로 건전하다고는 할 수 있으나 부채가 상승추세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대비 시가총액
시가총액이 상승하는 내용으로는 크게
- 주가가 상승한다거나
- 증자 및 추가 상장으로 인하여 상장주식수의 증가
가 있을 것인데요, 여기서 상장주식수가 늘어나는 것은 고려하지 않겠습니다.
(각 분기별 보고서가 발표 된 이후에 증자하는 것은 보고서 내용만으로는 알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물론 공시정보란에 기재되어있긴 할 것 입니다.)

2022-09-16 조회일 기준으로, 패션플랫폼의 시가총액은 약 459억원 으로, 공시데이터보다 좀 더 상승한 상태입니다.
투자자들은 3분기에 매출이 더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일까요? 이번 분기에 당기순이익이 하락한 상태인데, 다음 분기 공시내용을 좀 더 주의깊게 살펴봐야겠습니다.
각 분기 공시 데이터 기준 팩터데이터
제가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습니다.
- PBR : 당기 마지막일 기준 시가총액 / 자본총계
- PSR : 당기 마지막일 기준 시가총액 / (최근 4개 분기 매출액의 합)
- PGPR : 당기 마지막일 기준 시가총액 / (최근 4개 분기 매출총이익의 합)
- POR : 당기 마지막일 기준 시가총액 / (최근 4개 분기 영업이익의 합)
- PER : 당기 마지막일 기준 시가총액 / (최근 4개 분기 당기순이익의 합)
- PCR : 당기 마지막일 기준 시가총액 / (최근 4개 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합)
- PFCR : 당기 마지막일 기준 시가총액 / (최근 4개분기 잉여 현금흐름의 합)

네이버 증권 기준, 동일업종 PER는 8.98배 로 동일업종보다는 낮습니다.
예상 가격?


음 아직 2천원 초반대까지는 상승이 가능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
여담으로, 사실 저는 패션플랫폼의 브랜드들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물론 제가 백화점의 의류코너로 잘 가지않으면서 옷은 대부분 인터넷으로 구매를 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 입니다.
피터린치는 주식을 구매할때
- 주변에서 찾아보기 힘들었던 것이 흔히 볼 수 있게 된다거나
- 친구나 가족이 식사할때 말한다면
주식 매수를 고려한다고 합니다.
저만 많이 못들어본 건지는 모르겠지만, 아직 저는 패션플랫폼의 제품을 들어본적이 없어서 좀 아쉽긴하네요.
본 자료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본 자료에 근거하여 투자시의 손실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소형주 골라 텐배거 찾아보기 > 2022년 2분기 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0 2분기 기준 "대유 에이피" 기업 재무제표 확인하기 (0) | 2022.10.09 |
---|---|
2022-10 2분기 기준 "현대두산인프라코어" 기업 재무제표 확인하기 (1) | 2022.10.07 |
2022-09 2분기 기준 "성도 이엔지" 기업 재무제표 확인하기 (2) | 2022.09.25 |
2022-09 2분기 기준 "한국가구" 기업 재무제표 확인하기 (2) | 2022.09.22 |
2022-09 2분기 기준 "제이엠티" 기업 재무제표 확인하기 (1)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