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정리28

2023년 중위소득 2023년 중위소득이다. 2인가구 기준 345만원인데 둘이서 이거가지고 어떻게 생활하는지 대단할뿐이다. 물론 이 통계는 전체 가구에 대한 데이터이므로, 노인가구의 통계가 많이 집계되었을 것 같다. 일단 참고할만한 자료가 21년 자료라서 이걸 좀 참고해보려고 한다. 근데 또 아쉬운게 연령 가구별 중위소득까지는 알 수가 없다. 무튼, 23년 2월에 발표된, 21년 근로소득 조사결과를 참고하면... 21년도 20대의 평균소득은 240만원 / 30대의 평균소득은 361만원 인 것을 알 수 있다. 좀 더 자세한 표를 본다면, 21년 25세 ~ 30세 중위소득은 250만원, 30세 ~ 35세 중위소득은 300만원인 것을 알 수 있다. 30세~35세 중위소득 300만원 * 2인가구 = 600만원이라는 단순계산이 나온.. 2024. 1. 14.
1억을 모으면 토스에서도 축하알림이 온다 요 며칠새 돈쓸일이 조금 있어서, 다시 1억 아래를 찍었었는데, 얼마 전에 큰 돈이 들어올 일이 있어서 자산이 안정적으로 1억을 넘기게 되었다. 별 일 아니긴한데 괜히 뿌듯하다 2023. 12. 23.
1억이 있다면 할 수 있는 것들 1억이라는 돈이 있다면, 생각보다 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1억이라는 돈이 있다면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제가 느낀 것들에 대해 기재해본다. ## 소비 당연하게도, 1억이 생긴다면 그만큼의 소비능력이 증가하므로, 사고 싶은 것들, 소비하고 싶은 것들에 대해 충분한 소비를 할 수 있다. 사실 1억정도의 돈이면 왠만한 자동차, 명품, 시계는 쉽게 살 수 있다. 1억가지고 못산다면 1억모을때처럼 했던 행위들을 다시 반복해서 돈을 더 모은다음에 사도 된다. ## 자동차 위에서 이어지는 내용이다. 1억정도가 있다면 왠만한 국내외 자동차는 다 살 수 있다. 심지어 현찰 박치기도 가능하다. 물론 고액의 자동차를 사는 사람들 중에는 현찰로 사는 사람은 없지만, 할부금에 포함된 이자가 아까운 사람들.. 2023. 12. 14.
1억을 모으기 까지 내가 한 것들 이번 포스트에서는 1억을 모으기까지 내가 한 것들에 대해 기재해보려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 대부분은 회사를 어떻게 다니면서 어떻게 내 몸값을 올렸는가? 가 메인이다. 이것은 타이밍이나 운적인 요소도 있지만, 많은 부분에서는 몸값을 올리기위해 부단히 노력한 점이 많았다고 적고 싶다. 그 사이사이에 애드포스트라던지, 전자책이라던지 이런 것들에 대해 수익을 발생시키긴 했지만 이건 밥 한 두끼 정도의 작은 금액이긴하다. 아 물론 그만큼 아끼는 것도 중요하긴하지만, 부업이나 N잡이라고 하기에는 부끄러운 수준이다. 어찌되었던간 이런 것들을 포함해서 좀 서술해보려고 한다. # 부업 먼저 부업부터 내가 무엇을 했는지 기술해볼까 한다. 부업의 기준은 애매하지만, 내 개인적으로는 아래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부업 .. 2023. 12. 12.
1억을 모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나는 이미 지난 포스트에서 1억을 만들었다는 글을 올렸다. 부채없이 순자산으로 1억을 넘겼고, 나의 다음 목표는 투자자산으로만 1억을 넘기는 것이다. 와 1억모았다 월급들어오자마자 찍었다. 아마 자산이 안정적으로 1억이 넘으려면 한 달은 더 지나야할 것 같다. 그 사이에 주식이라도 더 빠지면 그건 또 할 말 없어지고.. 생각보다 좀 오래걸린 것 같다. 사회 drop-by-drop-fills-the-tub.tistory.com 1억 모으는데는 약 4년반~5년? 정도 걸린 것 같았다. 첫 직장 급여는 너무 낮았는데, 경력이 쌓이면서 급여가 오르다보니까 자연스레 저축하는 속도가 빨라졌다. 이 포스트에서는 내가 1억을 모으고 나서 느낀 점들에 구체적으로 작성해볼까한다. 결론 먼저 말하면 생각보다 간단한 것들이라.. 2023. 12. 11.
와 1억모았다 월급들어오자마자 찍었다. 아마 자산이 안정적으로 1억이 넘으려면 한 달은 더 지나야할 것 같다. 그 사이에 주식이라도 더 빠지면 그건 또 할 말 없어지고.. 생각보다 좀 오래걸린 것 같다. 사회생활 시작한것도 대학교 졸업이 늦어져서 좀 늦게 시작했는데 첫번째 직장 연봉도 그리 높지 않았다. 성과급없으면 2천후반대이고 성과급까지 포함해야 3300정도...? 였던 것 같다. 지금은 어느정도 여유로워졌다. 앞으로 이 돈을 어떻게 잘 굴려야할지.. 일단 국장은 너무 어렵다 ㅜㅜ 2023. 11. 24.
금융감독원 재무상담 서비스 후기 ! 며칠전에 금융감독원에 무료 재무상담 서비스를 받으러 다녀왔어서 후기를 남깁니다. 얼마전에 지인이 알려줘서 알게되었습니다. 금융감독원에서 CFP(국제재무설계사) 자격증을 가진 상담원분들이 무료로 재무상담을 해준다는 것을요. https://fine.fss.or.kr/fine/main/contents.do?menuNo=900062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fine.fss.or.kr 상담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와 같은 내용들에 대해 상담을 해줍니다. 신청방법은 위에 첨부해드린 링크로 들어가서 상담예약 을 클릭하시고 간단한 목적과 함께 상담하고 싶은 내용을 기재합니다. 상담의 형태는 대면상담, 전화상담, 온라인 상담 이 있었고 저는 대면상담으로 신청했습니다. 그러면 추후에 02로 시.. 2023. 8. 1.
흙수저는 대출받기도 빡세다 며칠전에 블라인드에서 한창 인기였던 게시글. 그렇다 왠만한 국가대출상품 및 국가 주택상품에 지원하려면 신혼부부로는 어림도 없다. 대부분은 여자쪽은 애낳고 일쉬라는 전제하의 소득조건인것 처럼 보인다. 아니, 사람 둘이서 합치는건데 당연히 소득기준이 200%~220%는 되어야하는 것 아닌가?? 물론 게시글 작성자는 현금흐름이 둘이 합쳐서 연 9천만원정도니까, 그냥 시중의 주담대를 받을 순 있겠지만, 요새 대출금리가 높기때문에 조금 부담될만할 것 같다. 요지는 그것이 아니라, 모아놓은 자산은 없지만 열심히 노력해서 소득을 올리거나 대기업에 취업한 흙수저들은 국가의 복지혜택에서 벗어난, 복시 사각지대에 있다는 점이다. 대단히 아이러니하다. 2023. 6. 25.
저축률 70% 이상! 6월달부터 내 지출을 제대로 확인하고, 남은돈들에 대한 저축률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가계부를 좀 쓰고 있다. 나는 일단 월급을 받으면 고정금액을 제외한 금액에서, 정해진 저축금액을 때려넣는다. 남은 돈은 그냥 남겨놓는데, 가끔가다가 정해진 용돈보다 더 많이 돈을 소비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해서 좀 꺼내서 쓰곤 한다. 결과적으로 나는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저축을 하는 비율은, 전체 수입대비 52%정도이고, 이 외에 쓰고 남은돈 포함한 저축률은 70%~75%정도이다. 5%차이가 뭐냐면 취미로 테니스를 하고있는데, 이것을 포함하냐마냐에 따라 조금 저축률이 다르다. (왜 이렇게따지는지는 이유가 있어서...) 사실 요새 가계부 어플들이 많이있긴하지만, 뭔가 하나같이 내가 원하는대로 정리하.. 2023.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