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트에서는 손절하는 타이밍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도 마찬가지로, 강환국 작가의 영상을 보면서 요점을 정리해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익을 보전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미국의 투자자 마크 미너비니 의 예시를 사례로 들면서 설명을 해주고 있습니다.
하락장에서도 이익을 보전하는 방법
손절하는 것은 둘째치고, 이익 실현할때도 참 어렵죠. 이 주식이 올라갈지 떨어질지는 모르겠지만, 주식이 올라간다면 마치 제가 탁월한 종목 선택을 해서 한 분기 내내 상승할 것 같은 착각에 빠지기도 합니다. 이러다가 주식이 1%, 2%씩 흐르다가 어느샌가 눈뜨고 보면 수익률이 음전해있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ㅜㅜ
이 때 중요한 것은 바로, 사기 전에 언제 팔지를 생각해야한다는 점입니다.
사기 전에 언제 팔지를 생각해야한다.
1. 주식이 내릴 때
주식으로 얼마나 깨질지는 투자자가 정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즉 사는 시점에 손절포인트를 미리 알아야한다는 것 입니다. 손절을 언제 해야하는지는,
- 우리들의 평균 수익률을 확인하고, 그것의 2정도로 나눈 것을 손절폭으로 두라
- 절대로 손절폭이 10%를 넘어가면 안된다.
즉, 개인의 평균 수익률을 2로 나눈 수치에서 손절을 하던지, 10%정도 되면 손절을 하던지입니다. 이때는 개인의 평균 수익률을 알고 있어야겠죠.
(이익실현한지가 너무 오래되어서...ㅠㅠ)
이렇게하면 손익비 2:1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손익비란? 수익 날 때 평균 수익 / 손실 날 때 평균 손실 입니다. 이것이 2:1정도가 되어야 자산을 늘려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투자의 실력은, 손익비와 비례합니다.
평균 수익과 평균 손실, 그리고 가진 주식들중에 승률에 따라 확정되는 최종수익을 나타낸 표입니다.
2. 주식이 반등할 때.
100원 주식이, 90원으로 떨어졌을 때, 95원으로 올라가면 반등할 래! 라고 한다면...? 올라갈지 더 내려갈지도 모르는 만큼 손절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손절 라인이 왔을 때 꼭 손절을 해야합니다. 절대로 반등한다고 해서 참는 것이 아니라, 손절라인을 정해놓고, 그 라인에 도달한다면 무조건 털어야한다는 것입니다.
3. 손실이 누적되고 있을 때,
이때 물을 크게 타는 것도 위합니다. 하락장에서는 어디까지 빠질지 모르기 떄문입니다. 손실이 누적되고 있다면 더 빠지기 전에 일단 털어버리고 재진입을 노려야하는 것입니다.
수익을 보전하는 방법
주식이 상승할 때에는 손절라인을 변경하는 것으로 수익을 보전하는 것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익이 손절라인의 3배까지 나면은, 손절라인을 매수금액까지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50달러에 매수를 하고, 5%가 떨어졌을 때 손절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손절라인은 47.5달러 정도가 될 것 입니다. 즉 2.5달러 떨어진다면 손절을 한다는 것인데, 이 주식이 운좋게도 올라서, 2.5달러의 3배인 7.5달러 이상 상승한다면, (즉, 50달러 -> 57.5 달러로 상승) 손절라인을 47.5불이 아니라, 57.5불에서 5%빠진 금액으로 다시 설정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트레일링 스탑이라고 합니다.
트레일링 스탑이란 현재가가 고점 대비 일정수준의 하락이 이루어지면 해당 종목에 대하여 매도(청산)주문을 실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감시시작시점을 기준으로 최소한의 이익을 보장하고자 하면 목표가를 설정하여 현재가가 목표가에 도달 후 일정수준의 하락이 이루어지면 주문이 실행되고, 현재가(고가)가 목표가를 돌파한 후 하락하지 않고 계속 상승할 경우 고가갱신에 따라 목표가도 갱신되어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주식이 상승함에 따라 손절라인도 같이 따라올라감으로 인해 주식의 이익을 보전하는 것입니다. 하락장에서는 주식가격의 변동폭이 심해지므로, 이 수익과 손절라인의 폭을 줄여서 가능하면 무조건 수익을 보전하는 쪽으로 조정해야한다는 것이입니다.
결론
- 주식을 살 때 언제 팔지를 정해놓아라.
- 주식이 떨어지면 무조건 손절을 할 생각을 해야한다.
- 주식이 오르면 익절 포인트를 올리고, 추가매수를 한다. 하락장이 오면 손절과 익절의 갭을 줄여야한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저도 쓰고 있는 영웅문S에서 트레일링스탑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알아봅니다.
'주식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코스피 코스닥 주식 S-RIM 기업가치 엑셀파일 공유 (0) | 2022.11.26 |
---|---|
금융투자소득세법으로 인한 토탈리턴 ETF 폐지...? (1) | 2022.11.03 |
손절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 2022.10.12 |
코스피, 코스닥의 역사적 저점...? (0) | 2022.10.10 |
분기실적 활용법? (0) | 2022.10.01 |
댓글